녹내장 검사 방법과 비용, 병원 가기 전 이 글로 끝내세요!
“시야가 좀 답답한데 혹시 녹내장 아닐까요?”
“녹내장 검사는 어떻게 하고,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?”
녹내장은 시야를 점점 좁게 만들고 결국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.
무서운 건 증상이 거의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정기검진으로 조기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죠.
이번 글에서는
✅ 녹내장 의심 시 어떤 검사를 받는지
✅ 병원에서 받게 되는 검사 순서
✅ 2025년 기준 예상 검사 비용
까지 실제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만 정리해드릴게요!
👁️ 녹내장 검사, 왜 중요한가요?
녹내장은 시신경이 서서히 손상되며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입니다.
하지만 시력 자체는 말기까지 유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, 본인이 이상을 느낄 땐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.
그래서 정기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하는 것이 필수예요.
🧪 녹내장 검사 방법 총정리
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검사를 진행합니다.
1. 안압 검사 (Tonometry)
- 눈 안의 압력을 측정해 안압이 정상보다 높은지 확인
- 공기 불어넣는 방식 or 직접 접촉 방식 (마취 후 진행)
2. 시야 검사 (Visual Field Test)
- 녹내장의 대표적 진단 검사
- 눈의 중심, 주변 시야 손실 여부를 측정
- 컴퓨터 화면 속 빛을 보며 반응 속도, 시야 결손 확인
3. 시신경 검사 (안저 검사)
- 시신경이 얼마나 손상됐는지, 모양의 이상 확인
- 눈 안에 빛을 비춰 망막 및 시신경 상태를 사진 촬영
4. OCT 검사 (빛간섭단층촬영)
- 시신경층, 망막층 두께 등을 3D로 정밀 분석
- 녹내장 진행 여부 추적에 필수
5. 각막 두께 측정
- 얇은 각막은 안압 측정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어
검사 정확도 향상을 위해 함께 측정
💡 보통은 3~4가지 검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며, 진단 + 추적 관찰에 사용됩니다.
💸 녹내장 검사 비용 (2025년 기준)
검사 항목 | 건강 보험 적용시 | 비보험 시 평균 비용 |
안압 검사 | 약 2,000~3,000원 | 약 5,000원 |
시야 검사 | 약 10,000~15,000원 | 약 30,000~50,000원 |
OCT 검사 | 약 20,000원 내외 | 약 40,000~70,000원 |
안저 검사 | 약 5,000~10,000원 | 비보험 시 약 20,000원 |
종합 녹내장 정밀검사 | 보험 적용 시 약 3~5만 원 | 비보험 시 10~15만 원 이상 |
✅ 초진, 재진 여부, **병원급(의원, 대학병원)**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.
✅ 대부분 건강보험이 적용되며, 녹내장 의심 소견이 있다면 비교적 저렴하게 진행 가능해요.
🏥 병원 방문 전 팁
- 예약 시 녹내장 정밀검사 원함이라고 미리 말하면 검사 시간 확보에 도움
- 안약이나 렌즈는 검사 전 중단 여부 병원에 확인
- 동공확장 검사 시, 당일 운전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 이용 추천
💬 자주 묻는 질문
Q. 안경점 시력검사로도 녹내장 알 수 있나요?
👉 NO! 단순 시력검사로는 녹내장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.
정밀한 안압, 시야, 시신경 검사가 필요합니다.
Q. 녹내장 검사, 아플까요?
👉 대부분 무통 검사이며, 간단한 마취점안 후 진행하니 걱정 마세요.
Q. 30~40대도 받아야 하나요?
👉 YES! 특히 가족력, 근시, 당뇨·고혈압이 있다면 반드시 정기검진 필요합니다.
✅ 마무리 정리
- 녹내장은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검사로만 발견 가능
- 안압, 시야, 시신경, OCT 등 여러 항목을 종합 진단
- 보험 적용 시 3~5만 원대 검사 가능, 비보험은 더 높을 수 있음
- 정기검진은 1~2년에 한 번, 특히 40세 이상은 필수!